파워레인저 속의 악당 쌍절곤 반기는 세상을 멸망시키기 위해 불사신 론을 불러옵니다. 파워레인저들은 많은 어려움 속에서도 힘을 모아 악당들을 물리치고 세계를 구합니다. 좋은 이들이 나쁜 이들을 몰아낸 것이지요. 이것은 늘 우리가 바라는 일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돈이 움직이는 시장은 좀 다릅니다. 나쁜 돈이 좋은 돈을 몰아내기도 합니다.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라는 그레셤의 법칙이 있습니다. 하나씩 풀어보면 ‘악화’는 가치가 낮은 나쁜 돈이고, ‘양화’는 가치가 높은 좋은 돈입니다. ‘구축’이란 어떤 것을 몰아낸다는 말입니다. 즉 가치가 낮은 나쁜 돈이 가치가 높은 좋은 돈을 몰아낸다는 말입니다. 이 말은 16세기 영국의 재무 전문가였던 존 그레셤이 여왕에게 보낸 편지에서 나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당시에는 지금처럼 종이 돈을 쓴 것이 아니라 금이나 은으로 동전을 만들어 썼습니다. 금과 은은 자체로 가치가 있는 금속입니다. 금 1 온스에 얼마, 은 1온스에 얼마라는 가치가 있고 이를 실질가치라고 합니다. 이런 금과 은을 가지고 동전을 만들면 동전 위에 1파운드, 10파운드 등을 써서 표면에 써진 가치가 또 있습니다. 이를 액면가치라고 합니다. 당시 영국에는 은이 부족했습니다. 따라서 은의 실제 가치가 많이 올라갔습니다. 예를 들어 은화를 만들 때 쓴 은의 실제가치는 15파운드인데, 은화 표면에는 10파운드라고 써 있었던 것이지요.그러자 정부는 은화를 만들 때 은을 조금 섞기 시작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은화의 액면가치는 10파운드이지만 실제로 이 은화를 녹여서 팔면 10파운드를 못 받았던 것이지요. 사람들은 은의 함량이 높아서 실제가치가 높은 은화는 사용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10파운드 은화로 10파운드 어치 물건을 사기보다는 녹여서 15파운드에 은을 파는 것이 더 나았으니까요. 그래서 사람들은 실제가치가 높은 좋은 돈은 쓰지 않고, 실제가치가 낮은 나쁜 돈만 쓰게 되었습니다. 나쁜 돈이 좋은 돈을 시장에서 몰아낸 것이지요. ![]() 이런 일은 과거에만 있었던 것은 아닙니다. 1960년대까지 캐나다와 미국에서는 은화를 사용했습니다. 은화의 액면가치보다 은화의 실질가치가 올라가면서 사람들은 은화를 사용하지 않고 그냥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러자 시장에서는 동전이 부족하게 되었고 결국 더 이상 은화를 만들지 않고 다른 금속으로 동전을 만들어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아르헨티나에서도 동전이 부족해서 늘 문제입니다. 물건을 사도 거스름돈으로 동전을 받을 수 없고 껌이나 사탕 같은 것을 대신 가지고 가라고 할 정도입니다. 아르헨티나는 물가가 너무 빨리 오르기 때문에 동전의 액면가치보다 실질가치가 높습니다. 그러니 동전을 녹여 수출하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해 버려서 늘 동전이 부족합니다. |
이렇게 나쁜 돈이 좋은 돈을 몰아내기 때문에 현대에서 돌아다니는 돈은 거의 나쁜 돈입니다. 우리 지갑 안에 있는 1천원짜리 지폐의 액면가치는 1천원이지만 실질가치는 1천원보다 훨씬 낮으니까요. 하지만 나쁜 돈 덕분에 시장에는 더 많은 돈이 돌아다니게 되었습니다. 돈이 많이 돌아다니니 경제 규모도 더 커지게 되었습니다. 나쁜 돈은 사실 나쁜 돈이 아닌 셈이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