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심깊은 아들이 병든 어머니를 위해 한겨울에 잉어를 구하러 장에 나갔습니다. 장에 가기 위해 나룻배를 타고 가는데 갑자기 물 속에서 잉어가 튀어 올라 배 위로 떨어졌습니다. 아들은 뱃사공에게 잉어를 팔라고 했지만 사공은 팔지 않았습니다. 아들은 장에 나가 잉어를 구하려 했지만 찾기도 힘들었고, 가격도 너무 비쌌습니다. 하는 수 없이 다시 집으로 돌아가기 위해 나룻배를 탔습니다. 그런데 강 한가운데에서 잉어가 또다시 튀어 올라 배 위에 떨어졌습니다. 사공은 이상하게 생각하며, 아들에게 왜 잉어가 필요한지 물었습니다. 아들은 어머니의 병구완 때문이라고 답했고, 이에 감복한 사공은 아들에게 돈을 받지 않고 잉어를 주었습니다. 이 이야기는 효심이 깊으면 하늘이 감동해서 복을 준다는 내용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경제를 공부하는 입장에서 본다면 공급과 가격에 대해 생각할 거리를 줍니다. 겨울에 잉어는 수심이 깊은 곳으로 이동하고 강은 얼어 버려 잉어를 잡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즉 공급량이 줄어들어 값이 오르는 경제 현상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공급이란 정해진 기간 동안 특정한 가격에 상품을 팔려고 하는 것을 말합니다. 잉어의 예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공급이 줄면 가격은 올라갑니다. 공급이 늘어나면 가격은 떨어집니다. 반대의 경우도 있습니다. 어떤 상품의 가격이 오르면 공급이 늘어납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높은 가격에 많이 팔아서 이익을 많이 내고 싶어하니까요. 상품 가격이 떨어지면 공급도 줄어듭니다. 팔아도 이익을 많이 낼 수 없기 때문이지요. 그렇지만 가격이 올라간다고 해서 공급을 계속 늘릴 수는 없습니다. 가격이 오르내리는 정도에 따라 공급량을 어느 정도 조절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가 바로 공급의 가격탄력성입니다. 상품에 따라 가격탄력성은 다릅니다. 예를 들어 배추를 볼까요? 지난 10월 배추 값은 엄청나게 올랐습니다. 그러나 배추의 공급량을 쉽게 늘릴 수는 없었습니다. 배추를 심고 수확하는데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지요. 오늘 배추 값이 올랐다고 당장 내일 배추를 더 많이 생산할 수는 없으니까요. 그러나 공장에서 만들어내는 물건들은 농산물보다는 가격탄력성이 높습니다. 신발 가격이 5만 원에서 6만 원으로 오른다면 신발 공장에서는 공장을 밤 늦게까지 가동해서 신발을 더 많이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지난 경제레터에서 다룬 수요도 함께 살펴보면 수요와 공급, 가격은 서로 떨어질 수 없는 관계입니다. 가격이 올라가면 공급은 늘어나지만 수요는 줄어듭니다. 그러면 다시 가격은 떨어지고, 수요는 늘어나고 공급은 줄어듭니다. 이렇게 적정한 균형 가격이 맞춰지게 됩니다. 공급량이 늘어나면 가격은 떨어집니다. 그러면 수요가 늘어나게 됩니다. 수요가 늘어나면 가격이 오르면서 균형 가격이 맞춰지기도 합니다. 즉 수요와 공급의 변화에 따라 가격을 맞춰지게 됩니다. |